- [ IT/프로그래밍 언어 ][R] error 처리2024-01-25 21:29:12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에러처리에 대한 내용이 나올 때, 항상 들었던 생각이 '아 이런게 있군...' 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해 직접 체감한 적은 없었다. 그만큼의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지 않아서인지... 사실 아직도 별반 다를바 없는 상황이다. 다만 공부하고 있는 내용의 진도를 나가기 위해서 거쳐가야 하기에 일단은 정리하고 나중에 깨달을 수 있기를 바라는 수밖에; 프로그래밍 시 에러처리를 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검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출처_https://velog.io/@tsi0521/) 구글에 검색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내용을 그냥 긁어왔다. 내 식으로 표현을 굳이 바꾸어 보자면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의도한..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binding & array2024-01-25 18:02:35바인딩 cbind() : Take a sequence of vector, matrix or data-frame arguments and combine by columns, respectively. These are generic functions with methods for other R classes. vector와 matrix, 그리고 data-frame을 열을 기준으로 바인딩할 수 있는 함수이다. rbind()는 위와 같은 특성을 띄지만 행을 기준으로 바인딩 시키는 함수이다. > a b cbind(a,b) a b [1,] 1 2 [2,] 2 4 [3,] 3 8 [4,] 4 16 > rbind(a,b) [,1] [,2] [,3] [,4] a 1 2 3 4 b 2 4 8 16 위의 설명에서도 알 수 ..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apply() 계열 함수2024-01-22 23:22:01apply( ) apply함수는 배열(array)이나 matrix의 요소에 함수를 적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함수이다. 출력값은 벡터나 배열, 혹은 list를 출력한다. 보통 배열과 matrix의 특정 행이나 열의 요소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for문을 활용하지만, 데이터가 많을 때 이 경우는 번거롭기에 apply()함수를 활용하면 간편하고 좋다. Rstudio에서 '?함수이름'을 입력하여 관련된 정보를 확인해보자. ?apply apply {base} R Documentation Apply Functions Over Array Margins Usage apply(X, MARGIN, FUN, ..., simplify = TRUE) Description Returns a vector or array or lis..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set.seed( )함수, replace = True or Fale2024-01-22 17:51:52R언어 공부를 하다보면, "set.seed(숫자)" 함수가 종종 보인다. 처음에는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몰랐다. set.seed()를 하지 않아도 난수 생성 함수는 잘 작동하기 때문이다. (사실 아직도 모르겠다. 그냥 개념만 이해했을 뿐... 나중에 실습예제나 프로젝트를 하면서 익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난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그냥 우리(인간)이 생성하는 머릿속에서 그야말로 랜덤하게 떠올리는 숫자를 떠올리는 것처럼 뿅하고 튀어나오는 것이 아니다. 즉, 숫자가 랜덤하게 튀어나오게 하기 위한 방식이 필요하다. 이때, 기준으로 잡는 숫자(seed)가 필요한 모양이다. seed에 무엇을 입력하느냐에 따라서 난수 생성식의 뿌리가 달라지는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생성하는 난수의 크기와 데이터 구조..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조건문2024-01-21 16:59:07조건문 if, else, ifelse() > f g condition = 2 # if와 else를 통한 조건문 구현 > if(condition ==1){ + str = "f(2)" + } else { + str ="g(2)" + } > eval(parse(text=str)) [1] 32 추가 조건을 더하고 싶을 때는 ifelse() 함수를 사용하여 조건문과 실행 내용을 입력하면 됨. >ifelse( a == 조건값, + 실행문1(조건문이 TRUE 일때), + 실행문2(조건문이 FALSE 일때))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지역 할당과 슈퍼 할당2024-01-21 16:35:31지역 할당 # 가장 최근에 갱신(재할당)된 변수값을 이용_지역할당 연산자 활용시 > a assign("a", 2) > a [1] 2 > a = 3 > a [1] 3 # 함수 내에서 동일한 문자(a) 활용시 외부 변수에 영향 없음 > f f(a) [1] 4 > a [1] 3 슈퍼 할당 > a = 3 > a [1] 3 # 슈퍼할당 연산자 "
- [ IT/프로그래밍 언어 ][R] 변수와 함수 할당, round( )함수2024-01-21 16:18:04- 변수 할당과 결측치 종류 - 변수값 조건 출력 - round()함수 사용 # 변수에 값을 할당할때 # c()는 벡터연산자로 벡터를 생성함 # NA, Inf, NaN 등의 결측치 존재 > x = c(1.3,1.2, 1.3, NA, 1.4, 1.5) # 조건 출력(?) 방법 > x[x>1.3] [1] NA 1.4 1.5 # " g g(4) [1] 1024 > g(4,5) [1] 1024 > g(2,8) [1] 256 # 인수는 할당 시에 입력한 순서나, 변수 이름으로 값 입력가능 > g(y=3, x=5) [1] 125 > g function(x,y=5){return(x^y)}
- [ 독서 ][퀀텀의 세계] 양자역학과 양자 컴퓨터의 작동 원리2023-02-15 01:02:15핵심 한줄평 - 책을 읽어갈수록 난이도가 증가한다. 그래도 끝까지 읽어보면 미래를 상상해보게 되어 흥미를 돋우는 여운을 남긴다. 지표 평가 난이도 ★★★★★ 양 ★★★★☆ 재미 ★★★★☆ 생각거리 ★★★★☆ Intro 양자역학, 양자컴퓨터. 들어도 도통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는 단어들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워낙 그 기술의 영향력이 현대에도 강하고, 발전할수록 다른 세상이 그려질 것이라는 전망에 관련된 내용이 나올때면 귀를 기울여보게 되고는 하는데요. "세상을 뒤바꿀 기술, 양자 컴퓨터의 모든 것"이라는 부제목은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던 것 같습니다. 어렵고 무슨 말인지 모르면서도 한번씩 찾아보게 되는 신비한 분야, 양자역학/양자컴퓨터를 소개하는 책, 책 리뷰를 시작하겠습니다. 책의 목차 감상평 ..
- [ 경제 & 뉴스 ]FOMC의 개념 | 연방 준비 제도의 FOMC의 기능2023-01-31 18:24:23최근 미국 2월 FOMC을 기다리며 여러가지 담론을 오고가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이전까지 나타난 연속적인 금리인상(22.12.14까지 7회 연속)이 점차 마무리되어가기를 기대하고 있는 시장 입장에서는 이번 FOMC에서 발표될 내용들이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기를, 어쩌면 그렇게 바라는 피봇(Pivot)의 시그널이 울려퍼지기를 기대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는 FOMC를 통해서 공개되는 내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시장에서 기다리는 주요 이슈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ederal Reserve System(연방 준비 제도)속의 FOMC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FOMC는 연방준비제도에 속해있는 하나의 기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준이 수행하는..
- [ 경제 & 뉴스 ]경기 침체의 기준과 의미 | 경기 침체 선언이 시사하는 내용2023-01-28 18:49:15지난 1월 13일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는 기자 간담회를 통해 '연내 금리인하는 시기 상조'라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2023년 올해 첫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t를 인상하며 사상 처음으로 7차례 연속 금리인상을 펼쳐오고 있는 가운데, 시장은 이러한 금리 인상 사이클이 언제쯤 끝이 날지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속되는 금리인상에 경기 침체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현재 이창용 총재는 오히려 기준금리 3.75%(현재 3.50%)의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밝히며 경기 침체 우려보다는 물가 안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의견을 지난 12월에 이어 재차 밝혀왔습니다. 그러나 물가 안정을 위해 조정되어가고 있는 경제 정책의 방향성은 시장의 유동성을 축소하기 때문에 경기의 성장과는 반대되는 흐름으로 펼쳐집니다. 이..